티스토리 뷰
폐렴은 감기와 유사한 증상으로 자칫 치료시기를 놓치게 될 경우 심각한 폐손상 및 합병증이 발생하여 위험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폐렴을 초기에 제대로 인식하고 조치하지 않으면 병의 진행 및 확산 속도가 빠른 탓에 복구가 더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폐렴의 증상과 원인 치료, 예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폐렴이란?
폐렴은 호흡기(폐)가 병원체에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폐에 침투하여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은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와 기생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원인 병원체와 염증의 정도에 따라 폐렴은 다양한 임상적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는 미생물 감염에 의하지 않은 폐의 염증성 질환도 총칭하여 폐렴이라 부르지만(넓은 의미의 폐렴),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폐렴(좁은 의미)의 정의를 사용하기로 하겠습니다. 미생물에 의한 폐의 감염성 질환을 좁은 의미의 폐렴으로 정의합니다.
폐렴 종류
미생물의 다양성으로 인해 폐렴의 원인도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것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며, 세균에 의한 경우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병원에서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됩니다. 이는 발생한 장소에 따라 균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진균이나 기생충에 의한 폐렴은 비교적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은 독감 등이 중요한 원인이며,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폐렴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가 폐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폐렴의 원인
대부분의 경우 기도를 통해 병원체가 침입하는 것으로 염증이 시작됩니다. 폐는 호흡을 위해 존재하고 따라서 공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데 이것이 균이 침입하는 통로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 몸의 중요한 장기 중 유독 폐에 감염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나 세균은 비인두 혹은 구강에 정착하여 집락을 이룬 후에 폐로 침투하지만, 결핵처럼 공기 중에 떠다니는 균이 호흡과 함께 폐로 침투하기도 합니다.
폐렴의 증상
대부분의 폐렴 환자에서 기침과 가래가 나타납니다. 가래는 고름처럼 노란빛인 경우가 많으며, 출혈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균에 의한 폐렴은 가래가 많지 않거나 거의 없어 비정형폐렴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폐렴 환자는 열이 나지만, 노인에서는 열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폐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지만 폐를 둘러싼 늑막은 통증에 매우 예민하므로 폐렴의 발생 부위가 늑막 근처일 경우 가슴 통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가슴 통증이 있다면 늑막염의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폐렴의 침범 부위가 충분히 크거나, 기존 호흡기 질환이 있던 분이 폐렴에 걸리면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폐렴의 증상은 발생 부위나 침범 정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폐렴의 진단 및 검사
때로는 임상 증상과 진찰만으로도 진단할 수 있지만, 대부분 가슴 X선 촬영이 필요합니다. 폐렴에 합당한 증상과 진찰 소견이 있고, 가슴 X선에서 경화 소견이 관찰되면 어렵지 않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X선 사진이 명확하지 않거나, 다른 합병증이 의심될 경우 CT 촬영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객담검사는 폐렴의 원인균을 찾는 데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객담을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거나, 세균용 배지에서 배양하면 폐렴을 일으킨 원인균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인균을 알 수 없으면 기관지 내시경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혈액검사는 염증의 정도나 동반된 다른 이상들을 살피기 위해 시행합니다.
폐렴의 치료
1. 약물 치료
약물 치료 중에는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를 조기에 사용할수록 예후가 좋습니다. 하지만 진단 당시 원인균을 알 수 있는 경우는 많지 않고, 끝내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대개 폐렴을 잘 일으킨다고 알려진 균들에 효과가 있는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은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지만, 독감을 제외한 대부분의 호흡기 바이러스에는 아직 효과적인 치료 약제가 없습니다.
항생제 외에도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해열제, 진통제, 진해 거담제 등을 쓰기도 합니다. 다만 약을 사용하여 기침을 과도하게 억제시키는 것은 가래 배출을 막아 치료에 방해가 되기도 하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2. 비약물 치료
다른 감염성 질환과 마찬가지로 충분한 휴식과 영양, 수분공급이 중요합니다. 가래를 잘 배출시키는 것이 치료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정기 진찰 폐렴은 급성 질환이므로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정기 진찰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폐렴의 예방법
흡연은 폐렴의 위험을 높입니다. 신경계통의 문제가 있는 경우,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당뇨, 알코올중독, 폐질환, 면역억제치료 등도 폐렴의 위험을 높입니다. 폐렴의 위험을 낮추는 예방주사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독감예방접종
독감바이러스는 그 자체가 폐렴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이차적인 세균감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페렴의 위험인자가 있거나 고령인 분들은 매년 가을 독감예방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2. 폐렴구균백신
폐렴구균은 폐렴을 일으키는 여러 균들 중 하나이므로 이 예방주사를 맞는다고 아예 폐렴에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폐렴구균은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므로 폐렴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3. 생활습관 관리
흡연자는 금연하고, 적절한 영양과 운동으로 건강상태를 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손을 씻고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는 것도 폐렴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폐렴구균 예방접종 횟수, 무료접종 대상
노인 사망 원인 1위가 폐렴인 것 알고 계신가요? 특히 7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폐렴 사망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폐암보다 무서운 질병이 폐렴인데요. 폐렴은 예방접종하여 예방하
re.superrichmind.com
대상포진 예방접종 가격 (+ 최저가, 무료접종)
요즘 같이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면역력이 떨어지면 대상포진 발병률도 급증합니다. 참을 수 없는 통증을 유발하는 대상포진은 누구나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최근 5
re.superrichmind.com